본문 바로가기
  • 공부하는 Hyun

경제 이야기49

[주식/경제] 우리는 왜 주식에서 돈을 잃을까? 2024.01.10 - [경제 이야기] - 투자의 기본 - 돈을 잃지 말아라 투자의 기본 - 돈을 잃지 말아라 "투자의 제 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고, 제 2원칙은 1원칙을 잊지 않는 것이다." - 워렌 버핏 주식에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워렌 버핏이 말했던 이 원칙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 hyeon00.tistory.com 저번에는 제가 워렌 버핏의 말을 인용하면서 '돈을 잃지 말아라' 에 대해 얘기를 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자산 관리를 하는 것에 중요성에 대해 얘기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비율은 비슷하게 넣었는데 주식이 -50%가 넘어서 복구가 힘들어요. 이러시는 분들도 있으실 것 같아요. 그런데 -1~20%도 아니고 -50%가 계좌에 찍히는 것은 투자자 본인의 문제 아닐까요? .. 2024. 1. 23.
[자본주의/경제] 돈 - 인플레이션 / 금본위제 여러분은 아무 것도 하지않는 지금 이 순간에도 돈을 잃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이죠. 무슨 소리인가 싶죠? 여러분의 돈은 가만히 있는데 물가가 오르기 때문입니다. 만약 나한테 1000원이 있는데 아이스크림이 500원에서 10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 보죠. 그러면 나는 원래 아이스크림을 사면 500원이 남아서 남은 돈으로 과자를 살 수도 있었는데 이제는 아이스크림 1개를 사면 돈이 사라지는 것이죠. 1000원으로 두 가지 물건을 사던 것을 1가지 물건밖에 사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 이렇듯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돈의 가치가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2024.01.16 - [경제 이야기] - [자본주의/경제]돈 - 돈의 개념과 물가 [자본주의/경제]돈 - 돈의 개념과 물가 여러분들은 돈이 무엇이라고 .. 2024. 1. 21.
[주식/경제] 주식시장은 반복될까? 저번에도 한 번 말했던 주제인데, 다시 보니 너무 허접해 보여서 삭제하고 새로운 글을 쓰네요. 역사가 반복된다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주식시장이 반복된다는 말은 낯설 수 있습니다. 역사가 반복되는 것 중 가장 흔한 것은 "요즘 애들은" 이라는 말일 것입니다. 요즘에는 MZ가 문제라고 하지만 과거라고 그런 말이 없었겠습니까? 요즈음 가만히 살펴보건대, 세상이 갈수록 풍속이 쇠퇴해져서 선비의 버릇이 예전만 못하여 경학(經學)에 밝고 행실을 닦아 치체(治體)를 잘 아는 자는 적고, 문사(文辭)를 숭상하여 경학을 버리고 녹리(祿利)를 좇는 자가 많으니, 어찌 우리 조종(祖宗)께서 학교를 일으켜 인재를 양성하는 본의이겠는가? - 조선왕조실록 숙종 편 위에서 보듯이 조선시대에도 후대인들을 뭐라 한 기록이 있습니.. 2024. 1. 17.
[자본주의/경제]돈 - 돈의 개념과 물가 여러분들은 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소포클레스는 돈을 악의 화신으로 보았고, 미다스는 손에 닿는 모든 것을 금으로 만들어 스스로 파멸했으며, 괴테는 에서 돈, 탐욕, 성욕을 하나로 묶었습니다. 사람마다 돈에 대해 말하는 게 다를 수 있지만 사전적으로는 교환의 매개체일 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가격은 왜 오를까요? 중학교 때 경제 수업을 들어보신 분들은 수요와 공급 법칙 때문에 가격이 오르는 것이다라고 알고 있을 겁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공급이 부족하거나 수요가 많아지기 때문에 가격이 오른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겨우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될까요? 다른 이유는 아예 없을까요? 제가 초등학생 때 500원 하던 막대 아이스크림 가격이 현재는 1000원대의 돈을 내야 살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동안 ..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