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부하는 Hyun

경제 이야기49

[주식/경제] 성공적으로 투자하는 방법 한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 하지 말아라, 망하는 지름길이다.' 라고 얘기를 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고, 저처럼 저런 말을 들었던 사람도 많다고 생각되네요. 그런데 매일 책을 보고, 인터넷 글들을 보다 보면 남들은 다 투자에 성공하는데 왜 내 주변에는 다 잃었다는 사람만 있고,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아 보여서 투자를 하면 처음에 10만원 넣어서 2만원 벌었는데, 100만원 넣으니깐 30만원 깨지고 주변 어른들이 했던 말이 맞나 싶을 거예요. 물론 제가 이 글에서 말하는 것은 주식투자지만 주식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부동산, 채권, 적금 등도 다양한 투자 방법 중 1가지라고 할 수 있으니 잘 알아보시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 볼까요? 2024.01.10 - [경제 이야기] - 투.. 2024. 1. 12.
투자의 기본 - 돈을 잃지 말아라 "투자의 제 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고, 제 2원칙은 1원칙을 잊지 않는 것이다." - 워렌 버핏 주식에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워렌 버핏이 말했던 이 원칙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작년 수익률이 몇 % 였나요?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만 따지지 말고 갖고 있는 현금을 포함한다면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주식 수익률이 30%여도 자신의 100만 원의 재산 중 10%만 주식에 투자를 했다면 그건 올해 30%를 벌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저는 그 경우엔 3%를 벌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100만 원 중 10만원만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를 하고 - 30%를 잃었다면 겨우 3%밖에 안 잃은 겁니다. 이 정도의 손해라면 노동 수익 혹은 다른 투자처에서 충분히 메꿀 수 있을 것입니다. .. 2024. 1. 10.
시장경제 - 시장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로는 인적·물적·시간적 공간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합쳐져 교환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다. 다르게 말하면 판매자와 구매자가 재화를 교환하는 매개체로 볼 수 있다. 초창기에는 물물교환이 이루어지는 시장부터 시작해서 재화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설명하고자 하였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폐쇄경제에서 개방경제, 지역시장뿐 아니라 국내시장이나 국제시장 등 한 단어로 정리하기 힘들만큼 시장이라는 개념 자체가 많이 확대되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시장은 어떤 기능을 할까? 대표적으로 시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교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기업에게는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가계에게는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줘 서로의 결정에 영향을 .. 2024. 1. 9.
쉽게 이해하는 금융 - 통화지표 한국은행에서는 통화지표를 M1(협의통화), M2(광의통화), Lf(금융기관유동성), L(광의유동성) 4가지로 구분한다. 1. M1 (협의통화) - 가장 현금성이 높은 통화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지폐, 동전 등의 현금과 수표, 자동이체 등의 결제성예금을 더한 개념이다. 쉽게 인출할 수 있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단기금융자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 M2(광의통화) - M1보다 조금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로 M1에 저축성 예금,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금융채 및 기타예금을 더한 개념으로 정기예금과 정기적금도 포함되지만 만기가 2년 이하로 유동성이 그래도 높은 금융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3. Lf(금융기관유동성) - M2에다가 2년 이상의 정기예적금 및 장기금융상품, 보험회사의 준비금,.. 2024.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