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야기49 투자 전략 - 역발상 투자 전략 세상에는 많은 투자 전략들이 있다. 대부분 투자자들이 아는 벤자민 그레이엄과 그의 제자 워렌 버핏의 가치투자부터 시작해서, 추세 추종 투자, 배당주 투자, 역발상 투자 등 다양한 투자 전략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 역발상 투자 전략을 다루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내가 켄 피셔라는 인물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를 성장주 투자의 대가로만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역발상 투자의 대가라고 생각한다. 나는 작년까지 나만의 투자철학이 없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굳이 따지자면 작년에 학생 신분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 많은 전략을 시도해 보았고, 가치투자 위주의 투자를 했던 것 같다. 이 말만 들으면 켄 피셔가 아닌 그레이엄이나 워렌 버핏, 찰리 멍거 같은 사람과 관련된 글을 써야되지않냐 하는 사람.. 2024. 1. 8. 투자 할 것이냐 말 것이냐 요한 호이징하는 인간을 homo ludens(놀이하는 존재)라고 말을 했다. 나도 게임을 좋아하고, 이길 때와 질 때도 있지만 아무리 져도 이길 때의 성취감을 위해 게임을 끄지 못 한 적도 있다. 주식 투자도 똑같다고 생각을 한다. 잃는 사람은 많지만 내 분석이 맞아들어 수익이 났을 때의 느낌이 투자를 한 번 시작한 사람들이 계속 하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매일 술 마시는 사람들이 술에 취해 실수하고 '내일부터 술 안 마신다.'라는 말을 내뱉고 바로 다음날에 맥주 한 잔 하러 가자는 말을 하고, 똑같이 술에 취해 실수를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투자자들은 이런 모습을 보고, 자신의 투자도 똑같지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각종 영상매체뿐 아니라 주식관련 사이트 몇 곳만.. 2023. 9. 12.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한국의 교육 과정에서 경제나 역사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만 투자에 대해서는 가르쳐 주지 않는다. 나도 투자에 대해 배우기 전에는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처럼 주식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했던 때도 있었기에 별 생각을 하지는 않았다. 그러면 당신은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지금 이 글을 왜 쓰냐고 묻는다면 지금은 투자가 아닌 투자 공부를 안 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학생들에게 수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지만 대학을 가기 전까지는 그것이 어디에 도움 되는 것인지 가르쳐 주지 않고, 저축하거나 주식 투자를 해 미래에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 물론 주변에서 보고 배울 수는 있겠지만 저축은 인플레이션보.. 2023. 2. 8. 쉽게 공부하는 경제(3) - 통화와 금리 2023.01.07 - [경제 이야기] - 쉽게 공부하는 경제 - 금융 쉽게 공부하는 경제 - 금융 금융 - 금융이란 무엇일까? 일상생활에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금융이란 말을 많이 들을 것이다. 예금이나 적금, 대출, 주식, 채권, 선물시장 등 금융시장, 금융거래 등의 말을 많이 들어봤고 많 hyeon00.tistory.com -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위기 상황일 때마다 ‘통화량’이라는 단어가 자주 언급된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인데, 조금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경제주체는 경제활동을 하면서 돈을 주고받는데, 판매자는 판매의 대가로 돈을 받고, 구매자는 매입의 대가로 돈을 준다. 이러한 교환의 수단을 화폐 또는 통화라고 하고, 물건의 교환을 위해 경제 내에서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통화량이라고 한다. 그.. 2023. 1. 17.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